반응형 리디노미네이션2 [경제금융 용어] 레버리지 효과 / 레버리지비율 / 로렌츠곡선 / 로보어드바이저 / 리디노미네이션 / 마샬의 k / 마스트리히트조약 / 마이크로 크레디트 / 마찰적 실업 / 만기수익률 경제금융 용어레버리지 효과 / 레버리지비율 / 로렌츠곡선 / 로보어드바이저 / 리디노미네이션 / 마샬의 k / 마스트리히트조약 / 마이크로 크레디트 / 마찰적 실업 / 만기수익률레버리지 효과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가 발생한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 한다. 레버리지 효과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자기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증가하게 된다. 원천적으로 레버리지가 내재한 투자의 예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경우를.. 2023. 11. 7. [시사경제 용어] 리디노미네이션 / 리마 신드롬(Lima Syndrome) / 리먼사태 / 리베이트(Rebate, 환급제) / 리보금리(LIBOR) / 리서슈머(Researsumer) / 리쇼어링(Reshoring) / 리스 / 리스본협약 / 리스제도 시사경제 용어리디노미네이션 / 리마 신드롬(Lima Syndrome) / 리먼사태 / 리베이트(Rebate, 환급제) / 리보금리(LIBOR) / 리서슈머(Researsumer) / 리쇼어링(Reshoring) / 리스 / 리스본협약 / 리스제도리디노미네이션한 나라에서 통용되는 화폐의 액면가를 낮은 숫자로 변경하는 조치. 즉, 화폐단위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화폐의 가치변동 없이 모든 은행권 및 지폐의 액면을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조정하여 새로운 통화단위로 화폐의 호칭을 변경하는 것으로 화폐단위를 1000 대 1, 100 대 1 등으로 바꾸는 식이다. 리디노미네이션은 거래 시 편의 제고, 회계장부의 기장 처리 간편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 자국 통화의 대외적 위상 제고 등을 기대할 수 .. 2023. 10.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