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용어
[IT용어사전]대체거래소 / 대체키 / 대칭키 / 대화형 뱅킹 / 대환대출 플랫폼 / 댑 / 데브옵스 / 데이터 3법 / 데이터 결합전문기관 / 데이터 댐
대체거래소
Alternativ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다자간 매매체결 시스템 혹은 대체거래소라고 불린다. 정규 증권거래소의 주식 매매 기능을 대체하는 증권거래시스템을 의미한다. 정규거래소와 달리 상장업무와 시장 규제 기능은 하지 않고 주식매매 중개 기능만 수행한다. 거래소 간 경쟁으로 투자자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장외 전자거래시장, 사설 온라인 증권거래소 등도 ATS에 해당된다. ATS가 설립되면 거래소 간 경쟁으로 거래시간 연장, 빠른 주문 속도, 낮은 수수료 등 거래비용 감소, 적합한 거래소에 주문을 연결하는 시스템, 정규거래소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매매체결 서비스로 인해 투자자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대체키
대체키(Surrogate key)란 자연키에 대한 대체용으로 인공적이거나 합성적인 키를 말하며, 주로 주민등록번호 같은 중요한 자료를 숨기기 위해 대체키로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컬럼을 합성하여 검색 시 속도 향상을 위해 사용한다.
대칭키
대칭키 암호(Symmetric-key algorithm)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대칭키 암호에서는 암호화를 하는 측과 복호화를 하는 측이 같은 암호 키를 공유해야 한다. 이러한 점은 공개키 암호에서 공개키와 비밀키를 별도로 가지는 것 과 구별된다. 대신, 대부분의 대칭키 암호는 공개키 암호와 비교하여 계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많은 암호화 통신에서는 비밀키 암호를 사용하여 대칭키 암호의 공통키를 공유하고, 그 키를 기반으로 실제 통신을 암호화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대화형 뱅킹
대화형 뱅킹이란 텍스트 및 음성 기반의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이용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메뉴와 아이콘을 찾아 클릭하는 모바일 뱅킹 앱과는 달리 고객 입장에서는 메뉴찾기 등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금융업에서 확산되고 있는 봇(bot)이 대표적인 대화형 뱅킹이다. 봇은 사람 대신 인공지능이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앱의 성장은 하락세인 반면, 메신저 앱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등 젊은 층은 1개 이상의 메신저 앱을 이용하는 등 주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아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대환대출 플랫폼
기존에 있는 대출을 좀더 금리가 저렴한 대출로 옮겨갈 수 있게 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통칭한다.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각 금융사의 대출 금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고 금융사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에서 대환대출 신청, 기존 대출 해지 등 전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또한 대환대출 플랫폼을 이용하면 기존에 대출 해지 시 발생하는 법무사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민간 빅테크,핀테크에 종속될 것을 우려하는 시중 은행들이 당국이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과 별도로 독자적인 공공 플랫폼을 만들기로 했다.
댑
중앙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블록체인에서 지갑은 블록체인과 고객을 연결하는 이용자 접점인 동시에 개별 댑(DApp)을 연동하게 하는 핵심 장치인데 과거 댑이 없을 때 지갑의 기능은 주로 암호화 화폐를 주고 받는 역할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댑이 등장하면서 지갑과 댑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됨. 이는 이더리움이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나오면서 스마트 계약이 가능해졌는데, 댑은 이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만들어짐. 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체인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댑을 통해 토큰도 발행하고 다양한 앱이나 서비스도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암호화폐 거래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와 연동되는 디지털 자산 서비스가 가능.
데브옵스
개발(Dev)와 운영(Ops)의 합성으로, 개발과 운영이 하나로 묶여,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킬 프로세스, 도구, 문화 등을 말함. 개발의 코드 생성부터 저장, 테스트를 통한 품질 확보, 배포, 운영까지 전 사이클을 하나의 체인으로 묶어,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 관리 프로세스를 별도로 운영하는 조직보다 제품을 더 빠르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방법론으로 고 스펙의 서버 하나 보다는 낮은 스펙의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해서 수 많은 서버들을 사람이 아닌, 자동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천재 지변으로 인한 IDC 장애 등 멀티 리전 운영의 필수로 인해 나오게 되었으며, 넷플리스 같은 경우는 여러 AWS 대규모 장애, 통신사 화재에도 서비스가 운영되었던 이유가, 한국 리전이 죽을 경우에도 다른 리전(국가)에서 한국서비스가 제공하는 모든 백업 플랜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카오스 엔지니어링이라고 함.
데이터 3법
개인정보 빅데이터를 기업에서 적극 사용 가능하도록 한 법안으로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보호법의 3가지 법을 말하며, 데이터 3법의 핵심은 현재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분산된 개인정보 보호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일원화하는 것임
데이터 결합전문기관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제28조의3에서 서로 다른 개인정보처리자 간의 가명정보의 결합은 보호위원호 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정하는 전문기관이 수행한다고 규정. 결합전문기관은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보호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절차와 방법에 따라 가명정보를 결합하여야 하며, 보호위원회는 결합전문기관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데 필요한 지원업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게 함.
데이터 댐
문재인 대통령이 디지털 뉴딜 개념으로 댐을 건설해서 물을 모은 뒤 여러 용도로 사용하듯 수많은 부가산업과 일자를 창출하는 과정을 데이터에 접목해 디지털 경제 시대의 새로운 뉴딜로 만들겠다는 개념으로 정의. 세계 대공황시대에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위기 극복을 위해 채택한 미국 뉴딜정책의 상징인 후버댐과 같은 취지로 만든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 데이터댐에 공공과 민간 데이터가 모이고, 모인 데이터는 표준화돼 서로 결합,가공되며 이를 활용해 더욱 똑똑한 AI가 생겨나고, 기존 산업이나 혁신 산업 발전에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 기반을 만들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는 정책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