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경제 용어
스미싱(Smishing) / 스시지수(Sushi Index) / 스와프포인트 / 스왑 스프레드 / 스왑(Swap) / 스? 에쿼티 / 스위트 스폿(Sweet Spot) / 스캘핑(Scalping) / 스컹크 워크 / 스크린쿼터
스미싱(Smishing)
휴대폰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해킹 기법으로, 인터넷 보안회사인 맥아피(McAfee)가 스미싱(SMS+Fishing)이라고 처음 명명했다. 문자메시지에 웹사이트 링크를 포함해 전송한 뒤 휴대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트로이목마를 주입해 휴대폰을 통제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사람 또는 기업이 보낸 것으로 가장하여 개인비밀번호, 소액결제, apk 파일 설치 유도를 통해 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스시지수(Sushi Index)
일본의 평균적인 가정이 전갱이에 비해 참다랑어(참치)를 얼마나 소비하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스시의 재료로 전갱이와 참다랑어가 많이 쓰인다는 것에 착안하여 아베노믹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지수이다. 경기 불황이 예상되면 값싼 전갱이를, 호황이 예상되면 값비싼 참치를 더 많이 소비할 것이며 이를 통해 일본의 경기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스와프포인트
외국인이 국내 은행에 원화를 맡기고 달러를 빌릴때 적용되는 비용. 스와프포인트가 낮을수록 달러 자금 사정이 나쁘다는 의미다.
스왑 스프레드
금리스왑(IRS) 금리와 국채 금리 간의 차이. 은행 신용도를 기반으로 한 IRS 금리가 무위험 채권인 국채 금리보다 높아 스왑 스프레드가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0년 6월 현재 유럽지역은 재정적자가 심화되고 국채 시장의 불안이 증가하면서 스왑 스프레드 (-)현상이 심화된 반면, 우리나라는 국고채 수급이 안정되고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스왑 스프레드가 (+) 또는 소폭의 (-)를 보이고 있다.
스왑(Swap)
계약조건 등에 따라 일정시점에 자금흐름의 교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금융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거래를 스왑거래라고 하는데 스왑거래는 사전에 정해진 가격, 기간에 둘 이상의 당사자가 보다 유리하게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서로 부채를 교환하여 위험을 피하려는 금융기법이다. 스왑거래의 종류로는 금리스왑, 통화스왑 등이 있다.
스? 에쿼티
비금전적인 투자로 기업의 운영진, 혹은 종사자가 기여하는 것을 일컫는다. 스타트업은 스? 에쿼티 방식을 자주 활용하는데, 성과에 대한 보상을 현금으로 하는 대신 기업의 주식으로 대신하는 것이 이 예에 해당하는데, 결국 회사의 성과와 위험을 구성원의 이해관계와 연계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스위트 스폿(Sweet Spot)
골프채, 라켓, 배트 등으로 공을 칠 때,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멀리 빠르게 날아가게 만드는 최적 지점이 스위트 스폿이다. 원래 스포츠 분야에서 나온 용어이나,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로 좋은 시기나 부분, 한 마디로 최적화 된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로 폭 넓게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경제 분야에서의 스위트 스폿은 경제가 이례적으로 호황을 누리는 시기를 의미한다. 또 마케팅에서는 소비자가 기업에 가장 매력을 느끼는 시점 혹은 그 느낌을 나타내기도 한다. 투자에서는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를 뜻하기도 한다. 이 용어와 관련해, 미국 유명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가 크레디트스위스 애널리스트의 말을 인용해 “한국이 현재 투자자들을 위한 스위트 스폿 상태”라고 보도(2009년 9월 6일)하기도 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한국 경제의 위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이후 단기간에 마무리 되었고, 아시아의 네 번째 경제대국인 한국이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2009년 2분기 구매력이 전 분기에 비해 5.6%나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이 5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경제 회복의 이유로 낮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원화 약세 등에 힘입어 한국 기업의 자동차와 휴대폰 등이 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워싱턴 포스트는 분석했다. 또 은행들이 비교적 상당한 자본력을 갖추고 순이익을 늘리고 있으며, 한은의 외환보유액도 위기 이전의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스캘핑(Scalping)
초단타매매를 말한다. 스캘핑은 원래 근소한 가격변동에 민감하게 대응해 매매하는 투기성 선물거래를 말한다. 현물 주식시장에서 초단위로 짧은 시간에 들어가 적은 시세차익을 얻는 기법으로 통용되고 있다. 보유기간은 보통 하루를 넘기지 않는다. 스캘핑은 요즘같이 초고속 통신망이 일반화된 환경에서 가장 각광받는 신세대형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스컹크 워크
스컹크워크(skunk works)는 군수업체인 록히드(Rockheed)의 고등 개발 프로그램의 별명으로서 1940년대 처음 등장했으며, 신속한고 효율적인 연구 개발을 위해 본사와는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연구조직 체계를 말한다. 사내에 만연한 관료주의적 문제점을 극복하고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등장한 조직이다. 이 용어의 유래는 초창기 작업 장소가 당시 미국에서 유행하던 만화에 나오는 작업장과 같이 악취가 심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선도적인 제품개발을 해온 작은 연구개발조직을 의미하며 자율적 조직으로서 상사의 승인이나 예산 등의 배정 없이 직원 스스로가 자율적으로 업무를 하며 공식적인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중간 단계에 속한다.
스크린쿼터
한국영화 산업을 보호하자는 취지로 영화관의 한국영화 의무상영 일수를 규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국산영화 의무상영제라고도 한다. 1966년 제2차 영화법 개정 시 한국영화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내 영화관은 일정 기간 한국영화를 상영하도록 한 데서 출발했다. 1995년 7월 헌법재판소는 스크린쿼터제에 대해 합헌판결을 내렸다. 영화진흥법 제28조에 근거하고 있는 스크린쿼터제의 목적은 외국영화의 국내 영화시장 잠식을 방지하고 한국영화의 기업화와 활성화를 법적, 제도적으로 유도하는 데 있다. 스크린쿼터는 제2차 영화법 개정이 이뤄진 1966년 도입되었으나 영화관들의 편법 운영과 당국의 감시 소홀로 사문화되다시피 했다. 1993년 영화인들이 스크린쿼터 감시단을 결성, 연중 극장을 감독하면서 제도가 정착되기 시작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