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용어
[IT용어사전]가계대출총량제 / 가명정보 / 가상자산 / 가상자산 업권법 / 가상화폐 / 가용성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개인정보 / 개인정보 비식별화
가계대출총량제
총 수입의 일정 상한선 이상으로 부채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연봉 5000만 원인 직장인이 있다면 부채는 이의 150% 수준인 7500만 원 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식으로 부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2021년 4월 금융 당국이 가계 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해 시행했다.
가명정보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의 사용이나 결합 없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로 2020년 1월 9일 개인정보 보호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개인정보처리자가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 보존 등을 위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가명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
가상자산
가상화폐, 암호화폐, 디지털화폐로도 불리며 아직 용어가 정의되지 않고 있다. IMF에서는 Virtual Currency라고 해서 가상공간에서 발행되는 화폐다라는 뜻으로 가상화폐라고 부르고 있으며, 유럽에서 나온 보고서에서는 중앙은행에서 통화를 발행하듯이 암호를 풀어서 채굴함으로서 화폐양이 증가하는 식이기 때문에 암호화폐라 부르며, 디지털 화폐는 기존의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가는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공간에서 거래되는 화폐라고 해서 디지털화폐라고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 자금결제법에서 가상화폐는 결제수단의 하나로 재산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정의했다. 교환 수단과 가치저장을 하면서 법정통화는 아니지만 민간인이 발행한 통화로 결제수단의 하나로서 재산적 가치를 지닌 화폐라고 정의했다. 쉽게 말하면 가상자산이란 칩 속에 돈의 액수가 기록되어 있어 물품을 구매할 때 상점의 단말기에 넣어 그 사용액만큼 제하는 방식의 전자화폐를 말한다.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는 실물 명목화폐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블록체인이나 분산원장기술 등을 이용해 전자적 형태로 저장되는 화폐이다.
가상자산 업권법
업권법은 특정 산업의 사업 범위와 합,불법 요소 등이 정의된 법으로, 업권법 제정은 해당 산업의 정식 제도권 편입을 의미한다. 최근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을 통해 가상자산 제도화 추진에 의견을 모았다. 국내는 2021년 기준 가상자산 투자자 규모가 600만 명에 이른 올해 초까지도 관련 업권법 제정 논의가 지지부진하다가, 최근 국민적 관심이 쏠린 몇몇 사건들로 인해 급물살을 탄 상황이다.
가상화폐
가상화폐라는 용어는 가상화폐, 암호화폐, 디지털화폐 등으로 불리며 아직 용어가 정의되지 않고 있다.
IMF에서는 Virtual Currency라고 해서 가상공간에서 발행되는 화폐다라는 뜻으로 가상화폐라고 부르고 있으며, 유럽에서 나온 보고서에서는 중앙은행에서 통화를 발행하듯이 암호를 풀어서 채굴함으로서 화폐양이 증가하는 식이기 때문에 암호화폐라 부르며, 디지털 화폐는 기존의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가는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공간에서 거래되는 화폐라고 해서 디지털 화폐라고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 자금결제법에서 가상화폐는 결제수단의 하나로 재산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정의했다.
교환 수단과 가치저장을 하면서 법정통화는 아니지만 민간인이 발행한 통화로 결제수단의 하나로서 재산적 가치를 지닌 화폐라고 정의했다.
가용성
가용성(可用性, Availability)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말한다. 가동률과 비슷한 의미이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개념 데이터 모델링)는 조직,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찾고 분석하는데서 시작한다. 이 과정은 어떠한 자료가 중요하며 또 어떠한 자료가 유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의 주요한 활동은 핵심 엔터티와 그들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것이다.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은 조직과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어떠한 데이터가 중요한지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개인정보
특정 개인에 대한 정보로 개인을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정보로 사전적이고 구체적인 동의를 받은 범위내 활용 가능
개인정보 비식별화
데이터 3법에 의하여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비식별화 기준이 강화되었고, 여러 비식별 방법을 적용. 비식별화란 정보 집합물(환자기록, 병력기록, 처방 등)에서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개인정보를 특정 인물과 연결할 수 없도록 가명화, 익명화하는 방법과 조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