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경제 용어
버터플라이 스프레드, 나비형 스프레드(Butterfly Spread) / 버트랑 모형(베르트랑 모형, Bertrand Model) / 버티컬 스프레드 / 수직 스프레드(Vertical Spread) / 번호이동성제(MNP: Mobile Number Portability) / 벌룬 론(Balloon Loan) / 벌처펀드 / 벌크운임지수(Baltic Dry Index, BDI) /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 법률구조제도 / 법인기업통계
버터플라이 스프레드, 나비형 스프레드(Butterfly Spread)
버터플라이 스프레드는 베어 스프레드와 불 스프레드를 합친 옵션 전략에 해당한다. 버터플라이 스프레드는 동일한 만기일을 가진 네 가지 옵션 계약을 가지지만 세 개의 다른 행사가격을 지닌다. 여기서 행사 가격을 K1
버트랑 모형(베르트랑 모형, Bertrand Model)
버트랑 모형은 버트랑(J. L. F. Bertrand)가 제시한 과점시장 모형으로, 기업들이 제품의 가격을 동시에 결정하는 가격경쟁모형이다. 이때 재화가 동질적이고 기업들이 제품을 한 단위 더 생산할 때 드는 한계비용(Marginal Cost)이 동일하다면, 기업들은 서로 다른 가격을 매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전경쟁시장일 때와 동일한 가격을 책정하게 된다. 제품이 동질적이라면 한 기업은 경쟁 기업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가격을 선택함으로써 시장의 모든 수요를 장악할 수 있는데, 이를 아는 경쟁 기업 또한 상대방보다 낮은 수준의 가격을 매기고자 할 것이다. 기업들의 가격 인하는 자신들이 손실은 보지 않는 최소한의 가격, 즉 완전경쟁가격에 이르러 멈추게 되며 이는 기업이 단 두 개만 있는 복점 상황이더라도 성립한다.
버티컬 스프레드 / 수직 스프레드(Vertical Spread)
‘버티컬 스프레드’ 옵션 전략은 동일한 기초자산에 대해서, 같은 만기일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행사가격을 가지는 같은 종류의 풋옵션과 콜옵션을 구매하는 것이다. 여기서 ‘버티컬(vertical) 은 행사 가격의 차이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캘린더 스프레드(동일한 행사 가격을 갖는 같은 종류의 옵션이지만 만기일이 다른 두 개를 동시에 구매하고 판매)와 반대이다. ??트레이더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기간 동안 과격하게 움직이지 않고, 적절하게(moderate) 변동할 것이라 예상할 때 버티컬 스프레드 전략을 활용한다. 이 전략은 옵션의 매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매도에서 얻은 수입이 옵션 구입에 들어가는 비용을 전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상쇄한다. 따라서 이 전략은 낮은 비용과 낮은 거래 위험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렇게 낮아진 위험은 결국 트레이딩 전략상 수익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만일 투자자가 기초자산의 가격에 큰 변동이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면 버티컬 스프레드 전략은 적절한 활용도구가 될 수 없다.
번호이동성제(MNP: Mobile Number Portability)
Mobile Number Portability'의 약자로,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가 사업자, 서비스 제공 위치, 서비스 종류 등을 변경하더라도 기존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통신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에 불만이 있거나 번호가 바뀌는 불편 때문에 사업자를 변경하지 못했던 이용자들이 사업자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하고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는 사업자를 바꿀 경우, 기존의 전화번호만을 유지하며 기존 통신사에서 받던 각종 서비스는 없어지고 새로 가입한 통신사의 서비스를 적용받게 된다. 번호이동서비스는 2004년 1월부터 LG텔레콤을 시작으로, 6월에는 KT(당시 KTF), 2005년 1월에는 SK텔레콤이 잇따라 도입했다.
벌룬 론(Balloon Loan)
벌룬 론(balloon loan)은 대출의 일종으로 만기일이 되더라도 그 금액이 완전히 청산되지 않는 종류를 가리킨다. 대출 금액이 일정 기간 동안 완전히 커버되지 않았기 때문에 ‘벌룬 론’은 계약 만료 시점에 대출금 중 남아 있는 부분을 상환해야 한다. ‘벌룬 론’은 장기 대출 상품보다 낮은 이율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기 대출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대출 상품의 경우 ‘리파이낸싱 리스크’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데, 이 ‘벌룬 론’ 이 나중에 가서 기존보다 더 높은 이자율로 재설정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벌처펀드
부실한 자산을 싼 값으로 사서 경제 여건이 좋아지면 비싼 값에 되팔아 차익을 내는 기금이나 회사를 말한다. 벌처란 독수리를 뜻하는데 썩은 고기를 먹는 독수리의 습성처럼, 파산한 기업이나 경영난에 빠져 있는 부실기업을 저가에 인수한 뒤 되팔아 단기간에 높은 수익을 올리는 자금을 말한다. 회생이 힘든 업체의 구조조정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999년에 도입되었으며,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orporate Restructuring Corporate, CRC)라고도 한다. 벌처펀드의 성공확률은 3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수익을 지향하는 헤지펀드(hedge fund)나 투자신탁회사와 투자은행 등이 설립ㆍ운용하고 있으며, 영업형태도 직접 경영권을 인수하여 회생시킨 후에 되파는 방법, 부실기업의 주식 또는 채권에 투자하여 주주로서 권리행사를 통해 간접 참여하는 방법, 부동산 등 자산만을 인수하여 되파는 방법 등이 있다.
벌크운임지수(Baltic Dry Index, BDI)
벌크운임지수(Baltic Dry Index)의 약자인 BDI로도 불리며 발틱 해운거래소가 발표하는 해운운임지수를 가리킨다. 철광석ㆍ석탄ㆍ곡물 등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벌크선 시황을 나타내며 세계 26개 주요 항로의 배 유형별 벌크화물 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해서 나타낸다.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한 기업이 여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각각을 개별 기업에서 생산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적게 드는 현상. 재벌과 같은 기업형태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적 근거가 된다.
법률구조제도
법률구조제도란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법을 모르기 때문에 법의 보호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법률상담, 변호사 또는 공익법무관에 의한 소송대리 및 형사변호 등의 법률적 지원을 함으로써 정당한 권리를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보호하고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는 법률분야의 사회복지제도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법률구조의 제도로는 민사소송법상 소송상의 구조제도, 형사소송법상의 형사피고인에 대한 국선변호인제도가 있고, 민간 주도하에 법률구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법률구조법에 근거하여 법무부에 등록되어 있는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있으며, 기타 변호사단체 등이 있다.
법인기업통계
기업의 활동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 경영이익, 설비투자, 재고투자, 자금사정 등의 기업정보를 포함한다. 경기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별 기업 경영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