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

[시사경제 용어] GP(genaral partner) / GP(genaral partner)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GSP(일반특혜관세) 등

by 힐링필링 2023. 10. 10.
반응형

시사경제 용어

GP(genaral partner) / GP(genaral partner)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GSP(일반특혜관세) / Gasp / G세대(Generation G) / HRM / HS코드 / HTS(Home Trading System) / IBP(International Budget Partnership, 국제예산협의체) / IBRD(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국제부흥개발은행)


GP(genaral partner)

투자조합을 구성하는 출자자 중 조합의 채무에 대하여 무한책임을 지는 조합원으로 업무를 집행하는 조합원이다. 원칙적으로 조합에 대한 업무집행 및 회사대표의 권한을 지닌다. 주로 소수의 투자자를 비공개로 모집하여 운용되는 사모펀드(PEF)에서 이를 운용하는 운용사를 GP라 한다. 벤처투자를 위한 투자조합의 경우 창업투자회사(venture capitalist)가 GP가 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위성항법장치를 말한다.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GPS의 활용을 살펴보면 우리가 버스를 이용할 때 버스에 장착된 GPS를 통해 버스운행정보를 알 수 있으며, 휴대전화로 친구의 위치찾기, 스마트폰의 GPS를 통해 증강현실을 체험할 수도 있다.

GSP(일반특혜관세)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제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개도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입할 때 관세를 없애거나 세율을 낮춰 주는 제도. GSP 제도는 1971년 유럽공동체(EC) 6개국에서 처음 도입되어 현재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37개국이 이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는 선진국이 개도국에 일방적으로 주는 혜택이란 점에서 두 나라 간에 협정을 맺고 상대방에만 특혜관세 혜택을 주는 자유무역협정(FTA)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은 2000년 사실상 GSP 수혜국가에서 벗어난지 10년 만에 GSP를 부여하는 나라로 위상을 바꾸게 됐다.

Gasp

Growth At a Scottish Pie의 약자로 아시아 주식투자에 있어서 국가나 업종별 기준보다 합리적인 성장주를 골라내는 스타일 투자기준을 말한다.

G세대(Generation G)

G세대는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전후에 태어난 세대로 글로벌 마인드와 외국어 구사능력으로 무장하고 자란 ‘글로벌 세대’를 말한다. 빈곤ㆍ독재를 경험하지 않고 외둥이가 과반수이며, 초등학교에 들어가자마자 인터넷을 접한 첫 세대이자 조기유학과 어학연수가 보편화된 첫 세대이다. 이런 이유로 ‘Global'의 첫 글자를 따서 G세대라고 부른다.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김연아, 모태범, 이상화 선수 등이 G세대에 해당한다. 한편, G세대의 ‘G’가 Generosity(자선)의 첫 글자를 딴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여기서 G세대란 탐욕(Greed)가 아니라 나눔, 공유, 협동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개인들을 말하다. 영국 조사기관 ‘트렌드와칭’은 2010년을 전망한 보고서에서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자동적으로 기부와 자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분석하며, 이들을 ‘G세대(Generation G)’로 부르고 있다고 전했다.

HRM

Human Resources Management의 약자로 인적자원관리를 뜻한다. 회사내의 인원배치, 평가제도, 인사관리 업무 등을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다루며 평가제도 등의 체계를 만들어 영향력을 행사한다.

HS코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 관세나 무역통계,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국제협약에 따라 HS코드는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서 앞의 1~2자리는 상품의 군별 구분, 3~4자리는 소분류로 동일류 내 품목의 종류별·가공도별 분류, 5~6자리는 세분류 동일호 내 품목의 용도·기능 등에 따른 분류다.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해 부여하며 우리나라는 10자리를 사용한다.

HTS(Home Trading System)

HTS(Home Trading System, 홈트레이딩시스템)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증권사 객장에 나가거나 전화를 거는 대신 집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PC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HTS는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단순히 주식시세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되던 가정용 투자정보시스템에서 출발했다. 매매수수료가 저렴하고 어디서나 인터넷만 연결되면 거래가 가능하다는 편리함이 있다.

IBP(International Budget Partnership, 국제예산협의체)

1997년 설립된 NGO 단체(www.internationalbudget.org)로 2006년부터 2년 주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하는 재정투명성 기준에 근거해 세계 각국의 예산과정을 조사ㆍ분석ㆍ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예산투명성지수를 발표한다.

IBRD(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국제부흥개발은행)

IBRD는 1946년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회복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세계은행그룹(World Bank Group)의 5개 기구 중 하나이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186개 국가로 구성된 두 개의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IBRD이며, 다른 하나는 IDA(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국제개발협회)이다. 두 조직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지만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세계화의 비전에 협력한다. IBRD는 중간소득(middle-income)에 해당하면서 재정적으로 신뢰할만하고 상대적으로 가난한 국가의 빈곤을 줄이는데 초점이 있는 반면, IDA는 세계 최빈국들을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IBRD는 1947년 첫 채권을 발행한 이후 지금까지 필요한 자금의 대부분을 세계 금융시장에서 조달하고 있다. IBRD는 신용등급이 AAA에 해당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해서 좋은 조건으로 빌려줌으로써 개발계획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돕는다. IBRD는 가난한 국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보증을 서기도 하며, 경제적 조언 등 비금융적인 지원도 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